문송한 회사생활/DATA 공부
[DATA] 빅데이터의 어두운 면
PieMoon
2020. 9. 17. 22:40
빅데이터의 어두운 면
-
사생활 침해
조지 오웰의 1984에서 다뤘더 빅브라더가 사람들의 일상 생활 전반을 감시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빅데이터 시대를 통해 구축될 수 있다.
또한, 2, 3차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에 사회, 경제적 위협으로 변형될 수 있다.
익명화 기술이 발전되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함.
-
책임 원칙 훼손
마이너리티 리포트 처럼 범죄 예측 프로그램에 의해 범행을 저지르기 전에 체포될 수 있다.
지금까지 민주주의 국가에서 채택한 형사 처벌은 잠재적 위협이 아닌 명확한 행동에 대한 결과에 대한 책임이었다. 빅데이터로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처벌하면 민주주의 사회 원칙이 훼손된다.
-
데이터 요용
데이터를 과신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데이터는 미래를 예측하지만 항상 맞는 것은 아니다.
잘못된 지표를 사용하는 것도 빅데이터 폐해가 될 수 있음.
통제방안
- 동의에서 책임으로
- 결과 기반 책임 원칙 고수 ($$할 가능성이 있다고 처벌 X, 행위를 해야만 처벌 O)
- 알고리즘 접근 허용
미국 연방거래위원회(FTC)의 사생활 침해 관련 ' 소비자 프라이버시 보호 3대 권고사항'
- 기업은 상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소비자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을 적용
- 기업은 소비자에게 공유 정보 선택 옵션을 제공
- 소비자에게 수집된 정보 내용 공개 및 접근권 부여
한국데이터진흥원에서 출간한 데이터 분석 전문가 가이드 2014 Edition을 요약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