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SQLD (65)
최보름달
이해관계자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 인식 실제 환경에서는 DBA(DataBaseAdministrator)가 데이터 모델링을 하기 보다는 개발자나 업무 분석가가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계자들도 데이터 모델링을 잘 이해해야 한다.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관계자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서 연구하고 학습해야 하는 사람 1)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모든 사람(프로젝트에 참여한 IT기술자들) : 완성된 모델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. 2) IT기술에 종사하지 않더라도 업무를 정보화하고자 추진하는 사람: 어느 정도 개념, 지식이 있어야 한다. 그래야 서로 소통이 잘 된다. * kdata 한국데이터진흥원에서 출간한 SQL 전문가 가이드 2013 Edition을 요약했습니다.
데이터 모델링의 세 가지 요소 1)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(Things) 2) 어떤 것이 가지는 성격(Attributes) 3)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간의 관계(Relationships) 예: '이주일과 심순애가 존재하고 둘 사이는 서로 사랑하는 연인사이다. 이주일은 키가 180cm에 성격은 친절하고 심순애는 키가 165cm에 세심하며 활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' 이주일과 심순애 : Things 사랑하는 연인사이: Relationships 180cm에 성격은 친절, 세심하며 활달함: Attributes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유형의 정보들은 이 세 가지 관점의 접근 방법을 통해 모델링 할 수 있다. * kdata 한국데이터진흥원에서 출간한 SQL 전문가 가이드 2013 Edition을 요약했습니다.

데이터 모델링에서 데이터독립성의 필요성 어떤 단위에 독립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게 되면 자신이 가지는 고유한 특징을 명확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의 변경으로부터 쉽게 변경되지 않고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. 데이터 독립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데이터 복잡도를 낮추며 중복된 데이터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다. 데이터 베이스 3단계 구조 1) 외부 단계 : 사용자와 가까운 단계로 사용자 개개인이 보는 자료에 대한 관점과 관련이 있는 부분. 2) 개념적 단계 : 사용자가 처리하는 데이터 유형의 공통적인 사항을 처리하는 통합된 뷰를 스키마 구조로 디자인한 형태. 3) 내부적 단계 :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된 방법에 대한 스키마..
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-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관점의 업무 분석 기법 - 현실세계의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과정 -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/설계의 과정 데이터 모델이 제공하는 기능 - 시스템을 현재 또는 원하는 모습으로 가시화하도록 도와준다. - 시스템의 구조와 행동을 명세화 할 수 있게 한다. -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조화된 틀을 제공한다. -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결정한 것을 문서화한다. - 다양한 영역에 집중하기 위해 다른 영역의 세부 사항은 숨기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. - 특정 목표에 따라 구체화된 상세 수준의 표현방법을 제공한다. 데이터 모델링이 중요한 이유 1) 파급효과 : 시스템 구축에는 많은 절차와 팀, 테스트가 동반된다. 이 때 데이터 모..
모델링의 정의 모델링: 다양한 현상을 표기법에 의해 규칙을 가지고 표기하는 것. - Webster 사전:가설적 또는 일정 양식에 맞춘 것. - 복잡한 '현실세계'를 단순화시켜 표현하는 것. - 사물 또는 사건에 관한 양상이나 관점을 연관된 사람이나 그룹을 위하여 명확하게 하는 것. - 현실 세계의 추상화된 반영. 모델링의 특징 1) 추상화 : 일정한 양식인 표기법에 의해 표현한다. 2) 단순화 : 복잡한 현실세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. 3) 명확화 : 애매모호함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한다.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1) 데이터 관점 :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 있는지, 데이터관 관계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모델링 하는 방법 2) 프로세스 관점 : 업무가 실제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무..